- http://m.champstudy.com/ci/index.php/bbs/board/boardView/teacher/F/dno/27/offset/660/no/118754
- [re] 명사절과 형용사절의 다른점
- 류일영| 조회 : 1281
- 목록 ▲ ▼
저는 이상하게 명사절과 형용사절이 햇갈리네요. 명사절 뒤에는 의문문 형태와 that, what 절만 가능한가요? whether절(~인지 아닌지)도 포함시켜주세요~
글구 형용사절 뒤엔 접속사 형태 (which, that..whose)만 가능한 건가요?
관계대명사(who, whom, which, whose, that) 관계부사(where when how why)가 가능합니다.
형용사절과 명사절의 다른 점이 있다면 그것도 쫌 설명들을 수 있나요....? 아! 그리고 관계대명사(that, what)과 명사절 (that, what) 이 다른게 무엇인가요? 죄송합니다..질문 쫌 많죠ㅠ
죄송하긴요... 명사절의 접속사와 형용사절의 접속사가 겹치는 것이 많으므로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십니다. 다시 차근차근 그 차이를 짚어볼게요.
(what에 대해서는 추가답변 보세요~)
우선, 접속사 that부터 구분하면:
관계대명사(형용사절접속사) that + 불완전한 절
--> 주격관계대명사 that은 "선행사를 주어"로 받고 형용사절을 이끄므로, 뒤에 다른 주어 없이 동사만 보임
--> 목적격관계대명사 that은 "선행사를 목적어"로 받고 형용사절을 이끄므로, 뒤에 필요한 목적어 자리가 빈 상태 (검증방법: 선행사를 목적어 자리에 넣어 보고 문맥이 자연스러운지 해석해 본다)
명사절접속사 that + 완전한 절
반면에 접속사 that이하 완전한 절이 놓였을 때는: 명사절로 기능하고, 명사절의 that절은 명사가 놓이는 곳: 주어 / 목적어 / 보어 자리에 놓입니다. (전치사 뒤는 안됨, 두 개의 전치사만 예외 - in that / except that)
그리고, that명사절의 특수용법 하나추가: 동격절을 이끌기도 합니다.
** 동격절에 대해 자세히**
that동격절은 개념을 담은 명사 뒤에서 그 개념을 풀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개념 명사란: idea(생각) fact(사실) theory(이론) evidence(증거) agreement(동의) 등과 같이 "생각의 내용"이 있고, "사실의 내용"이 있고 "이론의 내용"이 있고 "증거 내용"있고, "동의한 내용"이 있어서.. 그 내용을 풀어 서술할 수 있는 명사입니다.
The idea that 동격절 : 그 생각의 내용을 that절에 (완전한 절)담습니다.
The desk that 동격절 --> 이런 건 가능할까요?
"책상"에 개념(내용)이 담겼습니까? 아니죠? 책상은 풀어서 진술할 내용(개념)이
없고... 따라서 "개념명사"가 아니고.. 뒤에 동격절 따위가 붙지 않습니다. 이 때는 that이 관계대명사로 쓰여 the desk를 수식하겠죠.. (that이하 불완전~)
********************************************************************
한 가지 접속사가 명사절을 이끌 때도 있고 형용사절을 이끌 때도 있고.. 구분을 어떻게 하지?? --> 많은 분들이 질문하시는데요..
명사자리(주어/목적어/보어/전치사 뒤)에 놓였으면 명사절의 접속사로 봐야 하구요.
명사 뒤에 붙은 절은 명사를 수식하는 절 (형용사절)로 보셔야지요..
ex) I want to know which color Jane likes.
나는 알고 싶다 --> 무엇을? --> know의 목적어 필요 --> 목적어자리에 등장하는 것은 명사절!! --> 따라서 which는 의문사 (어떤)
"나는 제인이 어떤색을 좋아하는지 알고 싶다"
ex) I like the gloves which Jane bought for me.
S V O --> 주절이 완전 --> 명사가 올 필요 없음 --> 수식하는 절 --> which는 관계대명사(해석되지 않음) 로 gloves를 수식
"나는 제인이 나를 위해 사준 그 장갑을 좋아한다"
--> 이렇게 문장에서 그 절이 놓이는 위치를 보고 판단하시는 거에요... 해석도 약간 곁들이면 수월해지지요.^^
******************************************************************
아래도 참고로 보세요!
자, 접속사 when은 명사절/관계부사절(형용사절)/부사절 --> 세 가지 종속절 모두를 이끌 수 있어요.. 이것을 어떻게 구분하느냐...?
ex. I have no idea of when the show starts.
(전치사 뒤에는 명사가 와야함 --> 여기서 when은 명사절을 이끌고 의문사로
해석!! --> 나는 그 쇼가 언제 시작하는지에 대해 모른다)
ex. I forgot the name (of the holiday) when you commemorate the war dead.
S V O 전치사구
--> 주절이 완전 / 명사가 올 필요 없음 / when이하는 수식하는 절(형용사절
혹은 부사절) / 이 경우는 앞의 명사(시간 선행사)를 수식하는
관계부사(형용사)절 --> "너희가 전우용사들을 기념하는 휴일"
ex. I was eating dinner when you called me.
S V O
--> 주절이 완전 --> 명사올 필요 없음 --> when은 수식하는 절(형용사절 혹은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 이경우 dinner는 시간 선행사가 아니므로 when은 관계부사절이 아니라 --> 부사절의접속사 (S가 V할 때)
"네가 나한테 전화했을 때 나는 저녁 먹고 있는 중이었다"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문사절 명사절 (0) | 2015.12.22 |
---|---|
it turns out (0) | 2015.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