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 사용법

서버관련지식 2015. 10. 29. 01:16

dig (domain information groper) 는 DNS 네임서버에 쿼리를 날리기위한 유용한 툴이다.
DNS lookup 과 쿼리를 보낸 네임서버로부터 돌아오는 응답을 출력해준다.

대부분의 DNS 관리자들은 DNS장애 시 troubleshoot 를 위해 dig를 사용한다.
이유는 dig의 유연하고 편리하기 때문이다.

보통 dig는 명령어라인 인자들과 함께 사용한다.

dig 사용 시 name server 를 명시하지 않으면 /etc/resolv.conf 파일에 명시된
리스트로 쿼리를 보낸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dig @server name type

[server]
네임서버의 아이피 또는 도메인을 명시한다.
IPv4는 dotted-decimal(.)을 사용하고 IPv6는 colon-delimited(:)을 사용한다.

[name]
도메인을 명시한다.

[type]
ANY, A, MX, SIG, 기타.. 를 명시한다.
명시하지 않을 경우 기본적으로 A레코드를 출력한다.



http://regularmotion.kr/dig-%EA%B0%9C%EB%85%90-%EB%B0%8F-%EC%82%AC%EC%9A%A9%EB%B2%95/

Posted by 이상욱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