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서버 생성 할때 참고 할 자료 

결론적으로 이야기해서 기업체에서 기술지원이 필요한 서버로 사용할 경우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를 사용하거나, 

기술지원 계약이 부담스럽거나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에디션과 동일한 기능을 테스트할 경우라면 CentOS를, 개인적인 데스크탑 버전으로 리눅스를 사용하거나 새로운 기술에 관심이 있는 경우라면 페도라를 쓰는 것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http://ttend.tistory.com/65 [toward the end · · ·]

Posted by 이상욱1
,

엔드포인트란

네트워크 2017. 9. 1. 02:48

엔드포인트(End-Point)사용자와 관련된 장비로 주로 데스크탑PC나 노트북을 의미하는데 보안 관점에서는 사용자가 자주 액세스하는 파일서버나 웹서버와 같은 서버 시스템도 포함될 수 있다공격자 입장에서 보면 엔드포인트는 내부망 침투를 위해 교두보로 만들어야 할 필수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출처: http://skccblog.tistory.com/1801 [SK(주) C&C 블로그]

출처: http://skccblog.tistory.com/1801 [SK(주) C&C 블로그]

Posted by 이상욱1
,
  • 웹앱 (모바일 웹사이트)
웹앱과 하이브리드앱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쉽게 얘기하면 웹앱은 모바일 인터넷으로 본 사이트이고, 하이브리드앱은 네이티브앱과 같이 마켓에서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대표적 차이이다. 웹앱은 마켓에 등록할 수 없다. 간단한 예로 네이버를 들 수있는데 모바일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한 네이버 사이트와 마켓에서 받은 네이버 사이트의 화면을 비교해보도록 하자. 분명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웹앱의 장점
1. 웹사이트를 보느 것이기 때문에 따로 설치를 할 필요가 없다.
2. 모든 기기와 브라우저에서 접근할 수 있다.
3. 별도 설치 및 승인과정이 필요치 않아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웹앱의 단점
1. 플랫폼API(카메라 등)을 사용할 수 없고 오로지 브라우저API만을 사용할 수 있다.
2. 터치 친화적인 앱을 개발하기가 까다롭다. PC에서 함께 사용하는 반응형 웹이면 더더욱
3. 네이티브, 하이브리드 앱보다 실행이 까다롭다. (브라우저를 열고 검색해 들어가야하기 때문)

  • 하이브리드앱
하이브리드앱은 기본적으로 '네이티브앱 + 웹앱' 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일반적으론 네이티브앱에 웹뷰를 띄워 웹앱을 실행시키는 것이 보편적이며 양 쪽의 API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것이 장점이다.

하이브리드앱의 장점
1. 네이티브API와 브라우저API를 이용한 다양한 개발이 가능하다.
2. 웹개발 기술을 사용해 앱을 개발할 수 있다.
3. 한 번의 개발로 다수의 플랫폼에 대응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앱의 단점
1. 네이티브 기능에 접근하기 위해선 네이티브 개발 지식이 결국 필요하다.
2. 웹뷰에서 앱을 실행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앱의 성능이 곧 브라우저의 성능이다.
3. UI프레임워크 도구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개발자가 UI를 제작해야한다.


위의 특성을 잘 비교해 내가 만들 앱은 어떤 형태로 할 것인지 잘 확인해봅시다.



출처: http://steambread.tistory.com/4 [너찐빵 Blog]

출처: http://steambread.tistory.com/4 [너찐빵 Blog]

출처: http://steambread.tistory.com/4 [너찐빵 Blog]

Posted by 이상욱1
,